새해 반도체 29%↓ 중국 22%↓… 수출의 두 축이 무너진다
조선일보 2019-01-22
수출 올들어 20일까지 작년 대비 14.6% 줄어… 예상보다 악화
정부, 관세청 발표 1시간 만에 첫 장관 주재 수출전략회의 열어(수출점검회의는 정기적으로 하지만 수출전략회의는 처음. 참여하는 인사의 급이 위)
- 1.1~20일치 관세청 수출집계. 작년대비(YoY) 수출 14.6%감소, 수입 9.5%감소. 그 중 반도체수출 28.8%감소로 2개월재 마이너스. 반도체 제조장비 수입, 선바수출, 유화제품수출도 감소. 지역별로는 중국수출 22.5%감소. 중동과 베트남도 감소.
- 성윤모(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수출전략회의) "정말 상황이 녹록지 않습니다. 오늘부터 민관 합동, 범정부 차원의 수출 총력 지원을 위한 컨트롤타워를 가동합니다."
- 중국경제둔화, 노딜브렉시트가능성, 반도체업황악화, 국제유가하락.
이재용 한마디에 반도체업계 '술렁'…삼성發 '낸드 치킨게임' 오나
한경 2019.01.20
이재용 부회장 "어려울 때 진짜 실력 나올 것" 발언 속내는
기술격차 벌일 기회?
작년 4분기부터 시장 냉각되자…업계 "삼성도 속도조절 나설 것"
삼성은 "중장기 투자계획 고수"
삼성 판매·가격전략 주목
재고 털기 위해 제품價 낮추고
후발社 '울며 겨자먹기' 동참 땐 자연스럽게 치킨게임 시작
일각선 "삼성, 시장상황 지켜볼 듯"
- 작년하반기부터 투자속도 조절 전망, 영업이익 급감 발표. 평택공장 주민과 지자체의 증설 방해, 장비납품업체 실적 하락.
- 연초 이재용회장이 청와대에 불려갔다 온 다음 당초 발표한 계획대로 투자할 것이라고 발표. 4차산업혁명 각 분야에서 결국 메모리반도체를 더 흡수할 것이라는 이유.
- 반도체가격이 장기인지 단기인지 몰라도 일단 하락세인 지금 삼성이 투자를 한다는 말은, 치킨게임 전조로 헤석할 수 있음.
- 디램시장은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마이크론이 과점. 낸드플래시는 도시바, 웨스턴디지털 등에 중국업체까지 넘보고 있어서 업계에서는 낸드플래시시장에서 치킨게임이 벌어질 것 같다고 점침.
- 하지만 대놓고 치킨게임을 하기에는 한국, 중국, 미국 정부눈치도 봐야 함.
2000년대들어 최대 수출시장이자 교역국인 중곡경제. 요즘 슬슬 일단락되나싶다가 다시 터지다 다시 대화하는 미중무역전쟁말고도 중국경제의 구조적인 포인트.
무역전쟁에 '고령화 쇼크'까지…"中 경제, 6%대 성장도 어렵다"
힌경 2019.01.21
中 성장률 28년來 최악. 中 '경제위기론' 현실화 하나
경제지표 줄줄이 내리막
산업생산 증가율 10년來 최저…소매판매도 15년 만에 최저치
저출산에 생산가능인구 감소…車·휴대폰 등 판매 급감
"최악 땐 성장률 2%대 추락"
기업·가계부채 크게 늘어…경기 부양책 동원에도 한계
https://news.naver.com/main/read.nhn?oid=215&aid=0000729863
위기감 커지는 中경제…28년來 최저 성장 중국정부발표 6.6%
中 정부·국책硏 "경제 위기론은 과장…리스크 관리 가능" 반박. 전방위 경기부양
작년 성장률 6.6%라지만 美·英선 4~5%대로 추정…또 불거진 中 통계 조작 의혹
저 기사를 보고, 중국이 세계에서 가장 로봇화에 열중하는 나라라는 말이 납득이 갔습니다. 우리나라 이상으로 인구고령화를 걱정하는 나라였죠. 반으로 줄어도 7억이라 나라와 시장 자체가 없어질까 걱정하는 우리와는 다르지만.
베트남말고, 중국대신 중국 이상의 인구를 가진 나라로 미래시장으로 꼽힌 인도는 아직 정부 리스크가 큼.
인도정부 끝없는 관세 인상에 삼성 등 모바일업체 '시름'
연합뉴스 2019-01-21
핵심부품 조기인상 추진…"갤럭시 노트9 등 현지 생산 중단 불가피" 우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