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31/2018

"건축숲"(수직숲)이란 아이디어에 대해: 부정적/ 그리고 그것을 성공시키기 위해 필요한 몇 가지 고려 사항(For Vertical Forest: Bad Points. And Reasons to Think for Success)

웹서핑하다 우연히 본 올해 초 기사인데, 건축물의 바깥에 식물을 심을 수 있는 베란다를 (마치 에어컨 실외기 공간처럼) 체계적으로 설치해 수직숲을 만들자는 제안이다.

뭐, 오륙십대 이상은 모를 수도 있지만, 그 아래로는 다들 접해 봤을, 수십 년 전부터 알려진 아이디어다. 사실, 여러 번 시도된 적도 있고, 요즘은 대단위로 구현한 곳도 있는데(중국에서 만들었다는 것들, 어떻게 했는지 궁금하다), 하나하나 독립적으로 관리하는 게 아닌 전체를 하나의 숲으로 연결해놓고 하는 건, 내 생각에 그렇게 좋은 아이디어는 아니다. 그림그려서 보여주면 "그림같은 집"이니 뿅가긴 하지.. 합시다! 하고 예산을 배정하기 전에, 성공시키려면 좀 생각을 많이 해야 한다. 회사, 교육기관, 공공기관에서 먼저 해보라고 말하고 싶다. (대학교는 한때 담쟁이덩굴올려서 오래된 척 하는 게 유행이었던 적이 있다. 요즘은 에코니 뭐니 해서 국내외에서 많이 시도하는 모양이다. 초가집이 다시 나올 기세.)

그 이유를 설명하겠다.


일단 우리 나라의 기후. 사계절이 뚜렷하다 못해 여름에는 태풍이 불고 겨울에는 낙엽진다. 겨울에 잔디가 색을 잃지 않고 살아 있는 나라들은 저런 아이디어가 괜찮을지 모르겠지만, 우리 나라에서는 겨울에는 그다지 좋아할 만한 풍경은 아닐 것이다.


그 다음, 관리소요. 식물은 생물이다. 그리고 화분이나 흙을 담을 외벽 바깥 공간에 대해 서울시가 조례를 고쳐 건축물 연면적과 바닥면적에서 제외해주고, 추가 중량을 감당할 정도로 골조를 강화해야 하는 만큼의 면적 손해를 공제해준다 해도, 관리는 해야 하는데 어떻게 할까? 건물 외벽 청소하는 방식으로 해야 할 것이다. 농약과 비료정도는 드론이 한다 해도 말이다. 그리고 물을 주지 않으면 말라죽는데, 창가에 면한 가구나 사무실에 급수의무를 지우지 않고 시스템화하려면 결국 그 공간마다 급수관을 연결해야 한다. 이 정도는 뭐, 한번 하면 그만이니.

그 다음, 그렇게 만들어진 인공 수풀이 "건축숲"이란 말과 그 상상도에 어울릴 정도로 건물 외벽 전체를 둘러 지면과 연결하는 하나의 덩어리가 되면, 당연히 다양한 생물을 품어 작은 생태계가 될 텐데.. 자칭 "섬세한 도시민"이 감당할 수 있을까? 날벌레가 더 쉽게 날아들고, 개미와 바퀴벌레부터 거미, 진드기까지 기어올라오며, 쥐가 타고 올라오고 벌집이 생기고 새가 둥지를 짓고 새똥이 쌓이며 길고양이도 따라가겠지. "숲"이란 그런 곳이다.

정기적인 농약살포는 당연히 해야 한다. 왜냐 하면 주거지기 때문이다. 자연에 가깝게 꾸민 수풀을 코앞에서 느낀다는 것은 그만큼 농민이 야외작업하며 노출되는 질병과도 가까워진다는 것을 뜻한다. 건축물 전체가 하나의 덩어리가 되면, 이것은 단독주택단위의 정원하고는 차원이 다르게 큰 단위기 때문에 개인이 관리할 만한 범위가 아니다.

업무용 공간이나 상업건물이라면 오히려 할 만 할 지 모르겠다.(옛날에는 건축물에 영향준다고 없앴지만). 하지만 주거공간이라면 변수가 많다.

무엇보다, 도시민은 숲속 생활의 불편을 주거공간에서 감수할 준비가 되어 있지 않기 때문이다. 내가 보고 싶을 때 창밖에 꽃이 피고 푸른 잎이 산들거리고 나비가 날아들기를 바라지만, 꽃가루가 날리고 비맞은 낙옆이 창틀에 쌓이고 밤에 창을 여니 쥐가 쳐다보고 바퀴벌레가 기어들어오고 모기와 나방이 날아들면... 글쎄, 내가 아는 사람들 중에 좋아할 사람은 많지 않다. 그런데 바로 그런 현상이, 생태계가 건강하다는 증거다.

그리고, 방범체계를 보강해야 할 것이다. 수직숲을 타고 올라가는 도둑이 나올 것은 자명한 일. 각종 배관이 바깥으로 붙은 오래된 아파트 외벽을 타고도 도둑이 들었다(옛날에 그걸 뭐라 불렀더라? 원숭이 도둑?). 그런데 저렇게 사람을 유혹하는 암벽등반코스가 되면 당연히..


PS
수목이 건축외장재가 아니라 생명체고 생태계라는 점을 인정한다면 말인데, 굳이 하겠다면 방법은 있다. 언제나 그랬듯이. 시작은 적합한 식물종을 찾거나 육종해내는 것이다.
  1. 상시 관리 비용 지출을 인정하라.
  2. 한국내 여러 지역을 세분해 각 지역에서 사철 잎이 떨어지지 않거나 최대한 오래 붙어있는 종을 골라라. 낙엽이 가장 적고 청소하기 쉬운 종을 골라라.
  3. 건물 안전에 악영향을 주어서는 안 되며, 되도록 외장재에 손상을 주지 않는 종이어야 한다(식물과 식물을 담을 흙은 무겁다. 그리고 식물뿌리는 "힘세다"). 흙을 적게 담을수록 가볍지만, 건물을 덮고 싶다면 수종은 덩굴이나 가느다란 관목에 한정될 것이다. 그리고 흙을 적게 담을수록 세심하고 자동화된 관리와 예산이 필요하다. 흙을 많이 담을수록 쓸 수 있는 수종은 다양해지고 손이 덜 가지만, 건축물 설계에 반영할 요소가 늘어난다.
  4. 꽃가루, 낙엽말고 생활사 중 내놓는 종자털뭉치, 분해산물, 그 외 알러젠, 방출하는 생리활성물질 중 인체에 악영향을 주거나 불쾌감을 줄 수 있는 물질이 없어야 한다. 식물이 대기중에 내놓는 물질이 다 몸에 좋은 "피톤치드"는 아니다. 순진한 생각은 쓰레기통에 버려라!
  5. 생장이 느리고 생활사가 느리면서 있는 듯 없는 듯 한 것을 골라라. 그런 게 관리하기 편하다. 업적주의에 미쳐 종을 잘못 고르면 나중에 골치아파진다.
  6. 자연에 버려진 다음에는 환경파괴종이 될 가능성이 없는 것이 좋다.
  7. 병충해가 없는 종이거나 최소한 적어야 한다.
  8. 토종 곤충 및 외래 곤충을 끌지 않는 것이 좋다.
  9. 날짐승과 길짐승이 선호하지 않는 것이 좋다. 하지만 생활공간에 심는 식물이므로, 설사 먹지 않더라도 독성을 가져서는 안 된다.
  10. 그 식물의 생태적 지위로 인해 기존의 생태계에서 멸종이나 새로운 해충이 발생해서는 안 된다.


대충 여기까지다. 생각나는 대로 덧붙이겠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

ABC



어제 한 일, 하지 않은 일이 오늘 해야 할 일을 결정한다. 미뤄둔 일은 반드시 새끼친다. - ?

훌륭한 서비스에 대한 결과로 주어지는 것이 이윤이다. - 헨리 포드

생각날 때 귀찮더라도 백업해라. 내일 웃는다. - ?

매사 최적화는 좋은 습관이다. 시간을 가장 귀중히 여기는 습관은 더 좋다. - ?

네가 지금 자면 꿈을 꿀 것이다. 그러나 네가 지금 노력하면 꿈을 이룰 것이다. - ?

마감이 되어 급하게 일하는 것은, 밤새 술마시고 시험치는 것과 같다. 최선을 다해 시험봤을 지는 몰라도, 최선을 다해 공부하지는 않았다. 사는 것도 마찬가지다. 얄팍한 머리와 요행을 믿고 임기응변하는 데 맛들인다면, 인생도 어느덧 그렇게 끝난다. - ascii

위대한 생각을 길러라. 우리는 무슨 짓을 해도 생각보다 높은 곳으로는 오르지 못한다. - B. 디즈레일리

꿈의 크기는 자신이 성취할 수 있는 한계를 뛰어넘어야 합니다. 꿈에 압도되지 않는다면 그 꿈은 크지 않은 겁니다. - 앨런 존슨 설리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