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13/2019

비닐봉지는 영구히 갈 것처럼 과격 환경단체와 언론매체는 말합니다만 그렇게 튼튼하지는 않습니다.

자연에게는 해로울 만큼 오래가지만
인간에게는 별 도움이 안 될 만큼 자연에 약합니다.

그래서, 바다거북이 먹고 죽었다 고래 뱃속에서 이만큼 나왔다 이런 이야기.. 과학자들이 신소재를 개발하고, 정부가 합당한 규제를 만들고, 회사들이 싸게 생산해내면, 오래지 않아 없어질 겁니다.
미세플라스틱이 문제긴 한데, 애초에 종이와 비슷하게, 먹을 수 있게 만들면 상관없는 문제겠지요.



1.
농사짓는 분들은 잘 아시겠죠. UV코팅이 안 된 싼 비닐은 금방 헤진다는(=분해된다는) 걸.
(그 적당히 분해된 것이 또 문제라고 말이 많긴 합니다만 기술이 개발되면 또 모릅니다)
그리고 생활용 비닐도 무지막지하게 튼튼하진 않아요. 왜냐 하면 싸게 만들거든요.

예를 들어, 터키산, 이탈리아산 파스타 봉지 있죠? 500그램짜리 비닐포장된 것 말입니다.
이것은 박스로 사면 종이박스에 차곡차곡 들어있습니다만,
가정에서 쓸 땐 비닐봉지포장인 채로 찬장에 넣어두기 마련입니다.

그런데 이 비닐, 얼마 지나고 나면 구멍이 뚫린답니다.
유충인지 성충인지 화랑곡나방이 구멍을 낸다는 말도 있고.
작은 딱정벌레 종류인 까만 좀벌레같은 것이 들어가 있기도 합니다.

햇볕이 드는 장소에 보관하면 어느새 봉지가 푸석푸석해져있기도 합니다.
요즘은 밀웜 종류에게 플라스틱을 먹이는 실험도 한다더군요. 장애물 개척수준이 아니라 진짜로 비닐을 먹고 클 수 있는 벌레가 있다는 것. 한편 밀웜은 생산성이 좋아서, 사료용도로 쓸 뿐 아니라 진짜 식용(아직까지는 주식은 아니고 식품첨가물)으로도 이미 사용되고 있습니다. 중국에서는 바퀴벌레 수백억마리를 사육하는 기업형 농장도 있다는데, 바퀴벌레로 증명한 실험은 못 봤지만 이놈도 꽤나 식성이 좋아 가리지 않고 먹는 편입니다.


2.
옛 로마와 이집트 유적에서 파스타가 발견됐다며, 이런 식품이 오래 간다고 하지만, 4천년된 꿀도 먹을 수 있는 상태로 발견됐지만 벌레가 꿀을 안 먹냐면 아니지요.
마른 국수도 영양분인데 벌레가 안 먹을 리가 있겠습니까. 그리고 냄새가 나면 얇은 비닐포장 정도는 쏠아버립니다. 건조하다고요? 우리 나라의 여름 습도는 80%를 오르내립니다.

뭐, 그렇다는 이야기입니다.

이것은 곡식 씨앗도 마찬가지입니다.
아주 조금만 냄새나도, 벌레는 그걸 알고 아파트 십 층 창문을 통해서 찾아들어옵니다.
그래서 집에서 곡식은 물론이고, 도라지나 호박같이 양분이 있는 말랭이는 보관할 때 조심해야 합니다.
그리고 요즘 인기인, 애견용 말린 닭고기도 마찬가지입니다.
롤백, 비닐백정도는 식재료의 귀퉁이에 뚫려 구멍나기도 하고,

또한 얇은 비닐은 구멍이 안 나도 냄새가 납니다. 그건 잘 아시죠?
두꺼운 비닐을 쓰든가, 반찬통이든 장류를 담던 통이든 플라스틱통에 담아 실리카겔 한 봉 던져넣고 뚜껑닫는 것이 좋습니다. 그래서 볕이 안 드는 곳에 두세요. 볕이 들면 여름에는 꽤 가열되기 때문에 그건 그거대로 속에서 상하기 좋은 조건이 됩니다.


3.
비닐봉지를 쓰지 말자.. 이것은 아마 당분간의 미봉책입니다. 지금도, 비닐봉지를 안 팔지만 쓰레기봉투는 또 팔죠.
종이정도로 잘 분해되면서 사용성이 좋고 값싼 봉지가 나오면 사람들은 다시 일회용품을 쓰게 될 것입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

ABC



어제 한 일, 하지 않은 일이 오늘 해야 할 일을 결정한다. 미뤄둔 일은 반드시 새끼친다. - ?

훌륭한 서비스에 대한 결과로 주어지는 것이 이윤이다. - 헨리 포드

생각날 때 귀찮더라도 백업해라. 내일 웃는다. - ?

매사 최적화는 좋은 습관이다. 시간을 가장 귀중히 여기는 습관은 더 좋다. - ?

네가 지금 자면 꿈을 꿀 것이다. 그러나 네가 지금 노력하면 꿈을 이룰 것이다. - ?

마감이 되어 급하게 일하는 것은, 밤새 술마시고 시험치는 것과 같다. 최선을 다해 시험봤을 지는 몰라도, 최선을 다해 공부하지는 않았다. 사는 것도 마찬가지다. 얄팍한 머리와 요행을 믿고 임기응변하는 데 맛들인다면, 인생도 어느덧 그렇게 끝난다. - ascii

위대한 생각을 길러라. 우리는 무슨 짓을 해도 생각보다 높은 곳으로는 오르지 못한다. - B. 디즈레일리

꿈의 크기는 자신이 성취할 수 있는 한계를 뛰어넘어야 합니다. 꿈에 압도되지 않는다면 그 꿈은 크지 않은 겁니다. - 앨런 존슨 설리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