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TP2가 필요한 지역에서는 그걸 끼우지 않으면 100Mbps 속도로 인터넷되고
그걸 끼우면 500Mbps, 1Gbps 식으로 연결됩니다.
(요즘 나온 2.5Gbps, 5Gbps짜리도 비슷한 식인 듯)
망을 새로 깔았거나 거주지 건물 내부에 고속망이 있으면 그걸 이용하지만,
원래 전화선밖에 없었다거나 옛날 랜선만 깔려 있는 아파트라면 여러 가지 아이디어를 짜내는데 그 중 하나라고 하네요.
UTP2는 홈허브란 말대로, 허브역할을 합니다. 그래서 홈허브의 다운링크 포트에 부여되는 주소는 모조리 공인 IP입니다. KT의 IPTV상품과 인터넷상품을 동시에 가입한 사람들이 둘 다 풀대역폭을 사용한 이유가 이거였다고. 하여간 그래서, 일반 KT가입자들은 홈허브(UTP2)와 기가와이파이 공유기(AP)를 하나 받고, 둘 다 설치하고 합니다. 홈허브를 사용하지 않으면 고속연결이 안 되고, 기가와이파이공유기를 설치하지 않으면 무선을 못 쓰는 데다 접속기계가 모조리 공인IP가 되는 참사가 벌어지므로.. 연결은 무조건 외부선-홈허브-AP-컴퓨터 순으로 합니다.
KT에서 주는 UTP2는 설정메뉴에 들어갈 수 없게 된 게 있고, AP는 들어갈 수 있지만 기사접속화면과 사용자접속화면이 나뉘어 있다는 말이 있었습니다. (지금모델은 모르겠는데 KT AP가 주소 2개를 가지는 건 54Mbps짜리 AP때도 그랬습니다) iptime의 초고가 일부 모델은 UTP2와 AP를 합친 기능을 대신할 수 있다고 합니다. 그리고 AP도 설정에 공인IP를 할당하는 기능이 있어서, 이거 잘못 건드리면 단말기가 많다고 1대빼고 인터넷이 차단되며 경고화면이 뜹니다
위 나무위키 항목에서 설정들어가는 부분을 인용합니다.
3. 설정 진입 방법[편집]
3.1. 사용자 설정[편집]
공유기와 연결된 컴퓨터 또는 스마트폰의 인터넷 주소창에 http://172.30.1.254:8899[2017년형 kt 기가 와이파이 홈의 경우 자동으로 포트번호 8899가 붙으며(기존 관리자 주소와 같다), ID/PW는 ktuser/homehub이다.]을 입력한다.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다음과 같이 적는다.
홈허브/홈허브 스페셜 : 아이디 ktuser / 비밀번호 megaap
올레 기가와이파이 홈 : 아이디 ktuser / 비밀번호 homehub
KT스카이라이프 홈 : 아이디 user / 비밀번호 homehub
3.2. 관리자 설정[편집]
기종에 따라 될 수도 있고, 사용자 설정으로 넘어갈 수도 있다.
공유기와 연결된 컴퓨터 또는 스마트폰의 인터넷 주소창에 http://172.30.1.254:8899를 입력한다.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다음과 같이 적는다.
홈허브/홈허브 스페셜 : 아이디 ktroot / 비밀번호 nespot (현재 막힘 17.09.02)
3.2.1. 현재 홈허브 관리자 세팅에 진입하는 방법[편집]
WAN 케이블을 뽑고 홈허브 RESET을 시행.
KT에서 변경했던 비밀번호가 위 기본암호로 초기화됨.
WAN 케이블을 꼽지않은 상태에서 관리자 메뉴로 접속.
장치 설정에서 TR069라는 기능을 비활성화 한다.
(인터넷 연결과 동시에 KT가 위의 기능으로 암호 원격변경)
보안유지를 위해 자신이 사용할 암호로 변경한다.
WAN 케이블을 꼽고 나머지 세팅을 완료한다.
편하게 하는 방법 :
공유기와 연결된 컴퓨터 또는 스마트폰의 인터넷 주소창에 http://172.30.1.254를 입력한다.
주소에서 new/user_main.asp 부분을 new/admin_main.asp 로 수정한다.
로그인을 한다. 아이디 ktuser / 비밀번호 megaap
기가와이파이 프리미엄의 경우 홈허브와 도메인이 달라서 위 방법은 통하지 않는다.
KT 올레 기가 와이파이 홈 olleh GiGA WiFi Home DW02-412H 모델의 경우,
전에 한 번 메뉴를 정리한 적 있다.(간단한 설명-외부링크-을 한 블로그를 덧붙인다) 다시 보니 USB포트는 프린터와 외장하드메뉴가 없다.단, 펌웨어 업데이트를 USB포트를 통해 할 수 있는 메뉴가 있다. 내부적으로만 쓰고 열어주지 않는 걸까?
2017년 기준으로 기가와이파이프리미엄이라는 상위서비스에 가입하면 주던, 안테나 4개 달린 공유기에는 USB 3.0포트가 있고, 외장하드를 달아쓸 수 있다고 한다. 일부러 구별한 듯. 이래서 DW02-412H를 분해해서 리눅스 펌웨어를 올리면 USB포트를 쓸 수 있다고 한 것이었군.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