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형석 선임연구원‡
안성원 선임연구원
김석원 책임연구원
2016. SPRi 소프트웨어 정책연구소
https://www.spri.kr/posts/view/14725?code=issue_reports
PDF파일을 원 출처에서 받을 수 있습니다.
기술적인 내용은 저는 무식하니까 패스하고.. ^^
구글의 DeepMind가 이렇게 강력한 인공지능을 개발할 수 있었던 바탕은 풍부한 계산자원에 있다. 판후이와 대국을 한 분산 AlphaGo의 경우 1202개의 CPU와 176개의 GPU가 사용됐다. 바둑 인공지능 프로그램에 이정도 환경을 투자할 수 있는 기업은 전세계적으로도 손에 꼽을 것이다. 또한 AlphaGo의 파급효과 역시 상당할 것으로 기대된다. AlphaGo 개발진은 AlphaGo를 활용하여 음성인식, 기후변화, 헬스케어 등에 접목하겠다고 밝혔다. 게임 인공지능 프로그램으로 시작했지만 그 활용분야는 무궁무진한 것이다. 국내에서도 인공지능 연구를 위한 환경조성이 시급하다. 정부차원에서의 대규모 계산자원 지원방안과 현실적인 문제해결을 위한 연구소 설립이 필요할 것이다. 당시 문서의 결론 부분 일부인데, 2년 뒤 구글은 훨씬 적은 "계산자원"을 소비하면서 월등한 인공지능을 냈습니다. 일본에선 아주 비교도 안 되는 자원을 사용하는 바둑 프로그램이 오랫동안 시연되기도 했죠.
첫 발을 디디는 데 큰 자원이 필요하고
일단 깨친 다음 "개선(가이젠)"또는 최적화(optimize)하는 단계에서는 더 적은 자원을 소비하도록 하는 것, 그리고 그러는 동안 더 나은 하드웨어 개발을 병행해 결과적으로 더 적은 비용, 더 적은 에너지를 소비해 더 나은 진화물이 등장하는 것..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