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취적인 행동과 보다 고차원의 성취를 이루어내는 원동력이 된다.
하지만 지나치게 열정을 강조하면, 열정의 대상이 고정되어
그 자체가 성취에 장벽이 된다.
우리는 세상사에 보다 유연해질 필요가 있다.
섣불리 사람을, 자기를 정의하지 말라.
하나에 고정된 열정은 우리를 고집스런 사람으로 만든다.
[지뇽뇽 사회심리학] '운명의 상대'라는 믿음이 클수록 연애 어렵다 - 과학동아 2018.6
"열정과 관심은 ‘발견’하는 것이라기보다 ‘발전’시키는 것이라고 생각할 때, 우리는 더 열린 마음으로 다양한 가능성을 탐구하게 된다"
그리고, 이것의 연장선상에서,
- 아무 노력도 하지 않은 채 어느 날 내 눈 앞에 완벽한 상대가 나타나기만을 바라는 것은 어리석은 행동이런 말이 나왔습니다.
- 꿈이 없다고 생각했던 시간들 역시 정말 꿈이 없었다기보다 어느날 갑자기 ‘완벽한 꿈’이 나타나 내 심장을 흔들어놓기만을 기다리고 있었던 것은 아닐까?
인생은 길지만 황금기는 짧고, 짧지만 생각보다 깁니다.
우리는 통계로 제시된 기대수명은 알지만, 자기 인생이 언제 끝날 지는 모르죠.
따라서 매순간 열려 있을 필요가 있습니다.
다양한 경험을 할 것!
그리고 거기서 자신의 적성을 찾을 것!
사랑도 마찬가지!
사랑을 하다 보면 최선의 평생사랑을 만날 수 있지만,
처음부터 최선의 평생사랑을 골라 하려 하면 어렵다는 것.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