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4/2019

AutoHotKey를 사용해 Win + Space를 한영전환키로 / 카라비너(karabiner)를 사용해 맥 OS X의 우측 커맨드키를 한영전환키로

윈도우 컴퓨터에서는
그게 되는 모양이다.
최종판을 알아보자는 생각으로 좀 찾아서 정리해봤다.

즉, 이 방법은 맥OS X사용자의 한영전환방법 기준으로 윈도우 한영전환키를 바꾸는 것이다.

(기존에 쉬프트+스페이스 한영전환이 아래아한글과 리눅스에 익숙한 사람들이 좋아하던 방식인 것처럼. 아래아한글이 출시되던 초기만 해도 MS-DOS는 HBIOS.COM이 없었다. 즉, 도스 시스템이 한글입출력을 지원하지 않아서, 워드프로세서 프로그램들이 자신만의 방식을 개발했다. 그때 나온 게 쉬프트+스페이스로 한영전환하는 방식)


다음에 해볼 일은, 

윈도우사용자 기준으로 만드는 것이다.


윈도우OS에서)

영문자판 키보드, 애플키보드를 PC에 물렸을 때를 위해
왼쪽 윈도우키는 한자키로 인식시키고
오른쪽 윈도우키는 한영키로 인식시키기
(한영키와 한자키는 원래대로 둔다. 그래야 한글키보드와 영문키보드를 모두 컴퓨터에 물려놓고 쓰는 데 지장없다)
윈도우키가 필요할 떄가 있으므로, Menu(시작메뉴)키를 윈도우키로 인식시키기

이건 오토핫키로 될 것 같다.

맥OS에서 - 엘 카피탄(요즘은 미국산이 아닌 이상 레이아웃을 개선해준 것도 있는 모양인데 확실히는 모른다) - 에서)

왼쪽 커맨드키는 한자키나 그에 상당하는 프로그램 또는 기능을 넣고
오른쪽 커맨드키는 한영키로 인식시키기.

커맨드+스페이스나 다른 키가 아니라, 윈도우 키보드처럼 오른쪽 커맨드키만 눌러 한영키로 인식시키는 것은 방법이 있다. 
엘 카피탄까지는 karabiner라는 프로그램으로
시에라부터는 karabiner-elements라는 프로그램으로 그게 가능하단다.
참고하자:

나는 맥용 서드파티 무료프로그램은 잘 몰라서 시스템을 건드리는 건 되도록 안 쓰려고 하는데,
이건 방법이 없는 듯. 그리고 꽤 이름이 있다.



사용 결과를 적어둔다)

카라비너는 엘 카피탄 버전이 있고 시에라부터 사용할 수 있는 버전이 있다. 골라서 깔아주고.
카라비너 엘레멘트와 맥북의 설정을 지시대로 바꿔주면 된다.
맥북 설정에서 언어변환(소스변환이던가)을 안 쓰는 키.. F18정도로 바꿔놓고
카라비너에서 오른쪽 커맨드키를 F18로 만드는 것이다.

단, 맥북 환경설정은 한 번 해두면 계속 살아있지만,
카라비너 엘레멘트는 부팅할 때마다 한 번 실행했다 종료해주어야 한다.
그것만 주의하면 편안하게 쓸 수 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

ABC



어제 한 일, 하지 않은 일이 오늘 해야 할 일을 결정한다. 미뤄둔 일은 반드시 새끼친다. - ?

훌륭한 서비스에 대한 결과로 주어지는 것이 이윤이다. - 헨리 포드

생각날 때 귀찮더라도 백업해라. 내일 웃는다. - ?

매사 최적화는 좋은 습관이다. 시간을 가장 귀중히 여기는 습관은 더 좋다. - ?

네가 지금 자면 꿈을 꿀 것이다. 그러나 네가 지금 노력하면 꿈을 이룰 것이다. - ?

마감이 되어 급하게 일하는 것은, 밤새 술마시고 시험치는 것과 같다. 최선을 다해 시험봤을 지는 몰라도, 최선을 다해 공부하지는 않았다. 사는 것도 마찬가지다. 얄팍한 머리와 요행을 믿고 임기응변하는 데 맛들인다면, 인생도 어느덧 그렇게 끝난다. - ascii

위대한 생각을 길러라. 우리는 무슨 짓을 해도 생각보다 높은 곳으로는 오르지 못한다. - B. 디즈레일리

꿈의 크기는 자신이 성취할 수 있는 한계를 뛰어넘어야 합니다. 꿈에 압도되지 않는다면 그 꿈은 크지 않은 겁니다. - 앨런 존슨 설리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