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적인 소감믈 말하자면, 1000원을 1환으로 하는 것은 뭐, 괜찮지 않을까싶기도 하다. 나만의 생각이 아니라, 1000원을 신화폐 1단위로 하고 그 아래를 센트에 해당하는 단위로 하자는 것은 박승 전 총재의 이야기기도 하더라고.
나는 전에는 1000원 => 1환(=> 기준화폐단위), 1환 = 100전으로 하자고 한 적 있는데,
아래와 같이 하는 게 나을 지도:
지금 1000원 => 신화폐 1환 => 기준화폐단위.
1환 = 1000원.
이러면, 리디노미네이션을 한 거냐 만 거냐 이런 생각이 들 기도 하지만.
* Won to Whan 이면 통화단위 유니코드는 그대로?아니면 혼동을 막기 위해 새로 추가?
[세상읽기] 화폐개혁, 그 실패의 교훈 - 매일경제. 2019.4.18
- "리디노미네이션은 화폐단위를 절사(切捨)하고 실물 선호를 높여 물가 압력을 높이는 측면도 있다. 물론 최근 물가 하락에 따라 디플레이션을 우려하고 있어 실물자산 가격이 상승하거나 물가가 올라도 문제가 아니라고 생각하기도 한다. 심지어 화폐개혁으로 물가를 올리면 경기에 도움을 준다는 주장도 있다. "
- "그러나 경기 부진으로 경제에 활력이 떨어져 물가가 하락하는 상황에서 화폐개혁을 통해 억지로 수치상의 물가를 올린다고 경기가 회복되는 것은 아니다. 경제가 성장하지 못해 임금 상승이 이루어지지 않는다고, 임금을 억지로 올려도 경제가 성장하지 않는 것과 마찬가지다."
- "현재는 국내도 그렇지만 특히 국가 간의 의미 있는 금융결제는 종이지폐가 아닌 전산으로 대부분 이루어지기 때문에 화폐의 동그라미 숫자를 줄이는 게 거래의 편의성을 제공하거나 국가의 품위를 높이는 것과는 큰 상관이 없다." (다만 심리적인 문제는 계속 언급됨)
- "결국 그 나라 경제가 건실하게 성장함으로써 국제금융시장에서 신뢰받을 수 있는지가 국제적으로 원화의 안정성을 인정받는 핵심이다."
우리나라도 화폐개혁을 한 적 있지만, 이승만때는 전시 경제가 정상이 아니기 때문에 그랬고, 박정희때는 좋게 봐줘서 그 뒤로 10년 이상 지속된 경제개발계획을 앞둔 정지작업이라고 볼 수 있었다. 하지만 둘 다 쉽지는 않았고, 정부가 조건을 붙여 환전하라 하면 당연히 누군가는 불평하기 마련이다. 그 불평하는 사람과 그 사람의 불평은 정부가 노린 포인트일 수도 있고, 부작용일 수도 있다.
최근 비교적 무난하게 됐다고 평가받는 화폐개혁은 인도 모디 총리가 몇 년 전에 한 것이다.
(조건을 붙인 환전이란, 흔히 1인당 얼마까지만 현찰을 환전해주겠다는 그것을 말한다. 이것은 박정희나 모디나 같았고, 북한과 다른 나라도 그랬다. 그 즉각적인 효과 및 의도는 부의 강제적인 재분배 및 지하경제 부자의 부를 소각함으로써 정부가 화폐를 발행하며 지는 채무를 소각하는 효과다. 당연히 현금위주로 가진 부자들과 지하경제를 통해 축재한 사람들이 싫어한다. 하지만 그 효과가 파멸적이냐 건설적이냐 아니면 그럭 저럭 감당할 만 했냐는 나라마다 결과가 다르다. 경제에 대한 신뢰, 그리고 정부에 대한 신뢰가 없으면 온갖 꽁수가 나오고, 정부 화폐는 신뢰를 잃는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