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7/2019

[1인 가구 전성시대, 패러다임 바꿔라] 전체 가구의 30% ‘나 혼자 산다’ - 중앙시사매거진

[1인 가구 전성시대, 패러다임 바꿔라] 전체 가구의 30% ‘나 혼자 산다’
출산율 0%대로 추락, 고령화사회 진입… 주거·복지·노동·지역정책 1인 가구에 초점을

중앙시사매거진 2019.9.16


1인가구비중은 이제 전체 가구의 1/4을 넘어 3할 언저리고, 4인가구비중은 1/5미만으로 내려감. 앞으로 가장 많이 늘어날 가구원 형태. 핵가족이 아니라 개인주거시대.

정부 정책에서 연소득 7000만원은 중요한 숫자.
통계청 가계동향조사를 기준으로 연소득 7천만원은 소득 상위 25%(3인가구 기준)로 고소득자로 분류됨. 상위 30%는 연소득 6633만원으로 월급 550만원.

잘 이해하지 못했지만 재미있는 구절 하나.
30%가 갖는 의미는 이렇게 미묘하다. 그래서 정치권에서는 30% 할당제를 즐겨 사용한다. 과거로부터 상징성을 띄면서도 대세를 흔들지 않는 정도에서 뭔가를 추진하고자 할 때 30%가 즐겨 사용돼왔다. 검사 통계에서 볼 수 있듯, 30%는 분명 많은 비율이지만 지배 체계를 흔들 만큼 고위직 진출이 쉽지도 않다.


2010년 이전의 1, 2인가구는 청년가구, 옥탑 등을 정치권에서 주로 말했지만, 이제는 노년틍 1인가구가 동등한 주제. 2018년 중위 연령은 42.6세.
남녀 모두 결혼의 필요성 인식은 절반 아래로 낮아지는 추세. 일본을 따라가나.

1코노미. 1인가구를 대상으로 하는 경제활동.
홈코노미. 대표적으로 외식산업 부진.

1-2인가구의 특징 하나는, (아닌 경우도 있지만) 소비가 솔직하다는 것.
주거비부담으로 다양한 주거형태가 실험 중.

요람에서 무덤까지 개인화된 사회가 우리의 갈 길?


이 잡지의 관련 기사목록
https://jmagazine.joins.com/economist/list/020201
여기서 1인 가구관련 기사를 보면 됩니다. 공통검색어는 없고 검색창없으니, 2019년 9월 16일 발행분에서 적당히 찾아보세요.





댓글 없음:

댓글 쓰기

ABC



어제 한 일, 하지 않은 일이 오늘 해야 할 일을 결정한다. 미뤄둔 일은 반드시 새끼친다. - ?

훌륭한 서비스에 대한 결과로 주어지는 것이 이윤이다. - 헨리 포드

생각날 때 귀찮더라도 백업해라. 내일 웃는다. - ?

매사 최적화는 좋은 습관이다. 시간을 가장 귀중히 여기는 습관은 더 좋다. - ?

네가 지금 자면 꿈을 꿀 것이다. 그러나 네가 지금 노력하면 꿈을 이룰 것이다. - ?

마감이 되어 급하게 일하는 것은, 밤새 술마시고 시험치는 것과 같다. 최선을 다해 시험봤을 지는 몰라도, 최선을 다해 공부하지는 않았다. 사는 것도 마찬가지다. 얄팍한 머리와 요행을 믿고 임기응변하는 데 맛들인다면, 인생도 어느덧 그렇게 끝난다. - ascii

위대한 생각을 길러라. 우리는 무슨 짓을 해도 생각보다 높은 곳으로는 오르지 못한다. - B. 디즈레일리

꿈의 크기는 자신이 성취할 수 있는 한계를 뛰어넘어야 합니다. 꿈에 압도되지 않는다면 그 꿈은 크지 않은 겁니다. - 앨런 존슨 설리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