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IST, 물질 속 남는 원자로 수소 대량 생산 가능한 촉매 개발
뉴시스 2019.09.15.
UNIST정후영·신현석 교수팀, 새로운 촉매 '금속성 이황화나이오븀' 합성...전류밀도↑
적층형 구조에서 잉여 원자 발견...네이처 머티리얼즈 공개
키워드와 문장
- 울산과학기술원(UNIST) 정후영·신현석 교수팀, 영국 캠브리지 대학 매니쉬 초왈라(Manish Chhowalla) 교수팀, 네이처 머티리얼즈(Nature Materials)에 출판.
- 공동연구팀은 화학기상증착법(CVD)을 이용해 새로운 구조의 금속성 전이금속 칼코젠화물인 이황화나이오븀(NbS₂) 합성
- 전이금속 칼코젠화물은 주기율표상 4, 5, 6족에 자리한 전이금속과 황(S), 셀레늄(Se) 같은 칼코겐 원소가 결합한 화합물. 주로 반도체 성질을 띠지만 금속 성질을 가지는 가장자리에서는 수소 발생
- 새 촉매의 전류 밀도(Current density)는 기존 이차원 전이금속 칼코젠화물에 비해 100배 이상
- 금속성을 갖게 될수록 수소가 촉매 표면에 반응을 위해서 달라붙기 위해 필요한 '흡착 에너지'가 낮고, 수소가 잘 만들어짐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