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터+덕트팬을 사용한 것이었죠.
미국쪽에서도 여러 회사와 스타트업이 손대는 모양입니다.
이런 흐름에서 어느 정도 실험이 진전되어 성과가 나오면, 그래서 실용화될 가능성이 생기면, 법률적으로도 그리고 정책적으로도 푸시가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항공기가 배출하는 온실가스는 현재 전체 탄소배출량의 1.3%에 불과하지만, 비행기 이용이 늘어나면서 2050년에는 25%까지 증거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럼에도 지난해 12월 체결된 파리 기후변화협정에는 온실가스 감축 대상에 포함되지 않아 비판을 받았다.
국제사회, 항공기 온실가스 감축 방안 첫 합의 - 2016.10. 헤럴드경제
배터리 효율과 급속충전기술, 그리고 전기동력에 최적화된 추진형태 도입 등이 발전하면 아마도, 보잉 737급 이하, 노선간 비행거리 1000km 이하인 소위 커뮤터기 또는 자가용, 리저널 프롭기부터 전동기로 바뀌기 시작하겠죠. 대표적으로 김포-제주, 인천-베이징, 인천-도쿄 구간입니다. 미세먼지에도 아주 민감한 지역.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