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5/2018

고독사에 관한 기사 하나

기사를 읽기 전에: 취약계층에 대해서 국민연금, 중앙정부, 지방자치단체 중 적어도 한두 곳에서는 장례비용을 약간 지원하고 지역민에 대해 공공 장례식장과 화장을 할 수 있는 시설 이용 혜택을 알리고 있습니다. 주저하지 말고 일단 주민센터에 물어보세요.



[취재파일] 고독사, 중장년층이 문제다 - SBS 2018.02.04

  • 서울에서만 이틀에 한 번꼴
  • 전국적으로 연고가 없는 사망자는 2011년 682명에서 2016년 1,245명
  • 연구 보고서를 보면 주검이 주로 발견된 곳은 다세대주택(지하 포함), 임대아파트, 고시원 , 원룸 등 보증금이 없거나 싼 사글셋방
  • 기록을 남긴 경우는 24%에 불과한데 유서는 거의 없고 약봉지 같은 의료기록. 지병은 간경화, 당뇨, 고혈압과 같이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한 만성질환이 많아.
  • 고독사를 연령별로 보면 45~64세까지의 중장년층이 62%로 가장 많아. 주로 50대. 성별로는 남성.
  • 중장년층은 경제적으로 실패한 경우 가장 고립되기 쉬운 연령대면서 이혼이 가장 많은 40대대의 바로 다음.
  • 고독사는 그 정의상 1인가구에서 발생하는데, 이제 1인가구는 보편적인 가구형태(27.2%, 2015년 인구주택 총조사. 그 다음이 2인가구26.1%, 그 다음이 3인가구21.5%)
  • 고독사 위험군인 45~64세 남성 1인가구는 2010년 57만 가구->2016년 95만 가구. 
  • 1인가구와 위험군 모두 증가일로에 있음. 고독사또한 더 많아질 것이며 다른 연령대로 확산될 것.


아동청소년, 청년층, 독거노인에 대해서는 어쨌든 어느 정도의 마춤정책이 마련돼 시행 중. 하지만 사회의 허리인 중장년층은 당연히 빠져있었는데 그 중장년의 1인가구에서 이런 극단적인 사회현상이 확산되고 있는 것.


작년 매경기사.
https://www.mk.co.kr/news/society/view/2017/12/810157/

댓글 없음:

댓글 쓰기

ABC



어제 한 일, 하지 않은 일이 오늘 해야 할 일을 결정한다. 미뤄둔 일은 반드시 새끼친다. - ?

훌륭한 서비스에 대한 결과로 주어지는 것이 이윤이다. - 헨리 포드

생각날 때 귀찮더라도 백업해라. 내일 웃는다. - ?

매사 최적화는 좋은 습관이다. 시간을 가장 귀중히 여기는 습관은 더 좋다. - ?

네가 지금 자면 꿈을 꿀 것이다. 그러나 네가 지금 노력하면 꿈을 이룰 것이다. - ?

마감이 되어 급하게 일하는 것은, 밤새 술마시고 시험치는 것과 같다. 최선을 다해 시험봤을 지는 몰라도, 최선을 다해 공부하지는 않았다. 사는 것도 마찬가지다. 얄팍한 머리와 요행을 믿고 임기응변하는 데 맛들인다면, 인생도 어느덧 그렇게 끝난다. - ascii

위대한 생각을 길러라. 우리는 무슨 짓을 해도 생각보다 높은 곳으로는 오르지 못한다. - B. 디즈레일리

꿈의 크기는 자신이 성취할 수 있는 한계를 뛰어넘어야 합니다. 꿈에 압도되지 않는다면 그 꿈은 크지 않은 겁니다. - 앨런 존슨 설리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