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d-wrt를 얹는 개조한 사람도 있다. 글읽다 보면 엄청나게 해보고 싶은 멋진 일.
단, 개조는 소유권문제가 있을 수 있으니 주의.
KT에서 3년 무료 약정한 사람들은 3년 임대가 끝나면 소유권이 이전된 것이라 생각할 지 모르겠는데, 센터에 한 번 물어볼 것. 이후 그냥 무상임대조건이라면 나중에 회수하러 올 권리가 kt에 있다. (다만 너무 오래되어 구기종이 되면 회수하지 않기도 하고 종종 그런다는데, 이건 구형이긴 하지만 기가비트 서비스에 쓸 수는 있는 물건이라 어떨지 모르겠다)
소비전력
WAN연결하고 LAN에 1포트 연결한 상태에서 소비전력이 3.5-4와트 사이에 있다. 다원디엔에스의 파워매니저로 잰 것. 무선은 2.4기가와 5기가 모두 켜둔 상태. iptime의 공유기로 무선은 같고 유선은 100메가인 공유기때는 좀 더 적었던 것 같은데, 유선이 내부 LAN포트까지 기가비트인 유무선인터넷공유기는 소비전력을 측정하지 못했기 떄문에 여기서 비교하진 않겠다.
하여튼 3.5와트를 idle이라 하고, 설렁설렁 이런 블로그나 쓸 때 5와트라고 가정하면 월간 2.5~3.5kWh 정도를 이 공유기가 사용하는 셈이다.
이 공유기에 번들된 어댑터는 다음과 같다.
모델명은 SP-1200200A 이고, 출력은 12V 2A로 최대 24W다.
12V 2A는 iptime의 기가비트공유기 중 NAS기능을 포함하는 것들이 이 정도지 않았던가? 하여튼 괜찮다.
설정법을 간단히 메모해 둔다.
(KT olleh GiGA WiFi home AP와 홈허브에 대한 다른 내용은 아래 태그목록에서 kt.com 이나 DW02-412H 라벨을 클릭해 글목록을 보라)
==============================
kt 올레 기가와이파이 홈 2017년것. 1세대.
장비명
홈허브
모델명/제조사
DW02-412H / Dongwon T&I
버전
2.4.0
먼저 관리자 아이디와 비번 설정.
http://172.30.1.254:8899
ktuser
homehub
인 기본을 일단 바꾸기.
비번은 9자 이상, 영문자숫자특수문자 혼합.
2.4GHz 간편설정, 5GHz 간편설정에서, 상단 ip할당정책항목
kt모드로 되어 있는 것을 “공유기 모드”로 고치기 (재부팅함)
다시 들어가서, SSID와 접속비번을 바꾸기.
(설치기사 편의를 위해서인 듯한데, 기본 비밀번호는 관리자쪽은 동일, 무선랜쪽은 기계에 적혀 있으며 간단하다. 하지만 사용자가 바꿔줄 때는(반드시 바꿔줘야 안전하다), 무조건 영숫자문자포함해서 9자 또는 10자 이상 길게 해달라고 의무화해놨다)
LAN연결은 172.30.1.254가 기본인데,
바꾸고 싶으면 바꾸기.
예를 들어
공유기 주소를 192.168.10.1
DHCP 주소할당을 192.168.10.2~60
(프리미엄 DHCP는 뭐하는 것인지 모르겠는데, 그냥 내버려둔다)
로 고치기. 상위에 공유기가 192.168.0.1 인 iptime공유기를 달았다면
이렇게 해주는 게 헛갈리지 않아 좋을 것이다.
공유기 주소를 192.168.10.254로만 바꾸면 나머진 그대로 둬도 된다.
일단 이 정도만 하고 써볼 것.
==============================
웬만하면 이 공유기는 찜찜해서 안 쓰려 했지만, 유선기가비트 연결은 파일공기화할 때 꼭 필요하기 떄문에.
혹시, 컴퓨터+컴퓨터+노트북 이렇게 3대를 쓰다가 KT에서 "추가단말서비스 구매하라"며 전화온 경험때문에 kt의 AP를 쓰지 않는 사람에게:
- 일단 홈허브(UTP)를 안 쓰면 500Mbps 이상의 고속 서비스를 못 받는 지역이 많다.
- AP만 사제 공유기로 쓴다면 괜찮다고 생각할 지 모르는데, 일단 번들 공유기에 관련 코드가 있을 거라고 나도 의심하지만 증명한 글은 찾지 못했다. (아니, 찾을 생각을 안 했다)
- 일단 위의 설정부분을 고쳐준다.
ISP들, 그러니까 KT, SKB, LGU+의 중복단말기 검출은 아래와 같은 방식이라는 글이 있다. 웹페이지를 중간에 변조해서 단말기 정보를 캐내 보내는 자바스크립트를 넣는단다. -_-
통신사제공 모델이라서인지, 사용 중 WAN선을 빼 인터넷이 안 되면 이런 알림창을 보여준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