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치 리이언시 조항같은 이야기를 하면서 요즘도 허용하는
무개념 매체들을 고발한 기사. 그래도 이런 기사가 나오는 게 어디야..
가짜뉴스 사서 스펙 만든 현대판 ‘김선달’의외로 얼마 안 하네요? 하긴 온라인판은 지면 제한이 없으니.
IT전문가·의사·부동산전문가 사칭한 서준혁씨
비결은 언론홍보대행사 통한 가짜뉴스 배포
대행사는 단가표 올려놓고 버젓이 기사 장사
언론사는 아무런 제재 받지 않아
한겨레21 2018.12.
옛날에 신문 1단광고 2단광고하듯 지면을 판 모양입니다. 완전 광고냐 기사형식으로 만든 광고냐의 차이.
이런 걸 정부쪽에서 하는건 알고 있습니다. 정부사이트 보도자료는 거의 안 보기 때문에 정부에서 언론사에 수수료(?)주고 해요. 옛날 정부는 물론 지금 정부도 당연히 합니다.
완전 광고기사에 대해서는 정부에서 제재들어간 게 몇 년 전입니다.
(특히 넘쳐났던 게, 아파트와 오피스텔 분양 홍보기사였죠)
그런 기사는 특정 표시를 하도록 했죠. 완전 광고는 기사와 섞지 못하도록 했고.
그런데 이런 경로 자체는 여전히 살아있는지,
저 기사에는 어떤 사람이 자기 스펙을 위조하는 데 이 수단을 사용한 경우를 소개했습니다.
각종 증명서대신, 자기를 가짜이력넣은 전문가로 포장해 출연시킨 내용을 대행사를 통해 언론배포한 기사 링크를 해버린 것입니다.
그리고 정식 취임이 아니라 잠시 출연, 인터뷰, 단기강연하는 경우에는 신원조회를 깐깐하게 잘 안 하고, 또 신문기사를 내밀면 기자가 검증했겠지생각해서 그게 통했다고.
그리고 당연히, 이건 사기니까 얼마 안 가 눈치챈 사라이 생기고 들통나고 경고를 먹지만, 개별 사안이 크지 않다 보니 사기꾼은 자기 이름에 다른 걸 덮어씌워 또 그런 행각을 하고 다닌다는 말입니다.
그리고 꽤 많은 매체와 심지어 공공기관조차, 거기에 속는다니, 기자가 속고 기사를 쓰면 독자는 안습.. 그런 이야기입니다.
1. 신문기사를 읽을때, 어떤 사람 마빡에 붙은 간판만 보고는 그 사람이 하는 말을 덮어놓고 믿지 말라는 것입니다. 저건 기본적으로는 언론사가 잘못한 것이지만, 결국 잘못보고 피해입는 건 사기꾼도 기자도 언론사도 아니라 독자니 스스로 조심하는 수밖에 없습니다. 그렇다고 인터뷰에 등장하는 전문가 신상을 모두 검색해볼 시간은 없습니다(그리고 저런걸 이용하는 사람은 정맞을 만큼 너무 튀지는 않게 하는 게 기본일 겁니다). 그리고 저런 가짜 전문가를 등장시키지 않고도, 기자가 직접 작성하는 기사 자체도 얼마든지 내용이 바뀔 수 있습니다. 이건 모든 매체가 똑같습니다.
2. 몇년 전부터 팩트체크가 유행하는데, 기사 다시보기란 면에서 좋지만 우려스런 면도 있습니다. 이젠 팩트체크가 아니라 팩트체크를 위장한 (그래서 재차 팩트체크가 필요한) 무엇이 되기도 합니다. "팩트"란 말에 공신력을 부여하는 이상한 분위기에 편승한 것. 그리고 이런 것이 인기인 흐름은, 스스로 생각하기를 게을리하는 사람들이 "핵심정리"와 "족보"에 기대 공부하며 자란 습관의 결과일지도 모릅니다. (특정 숫자를 족보에 흘려썼더니 그 족보를 복사해간 사람들이 잘못 외어 시험문제를 줄줄이 틀린 케이스같은..)
댓글 없음:
댓글 쓰기